반응형
안전점검의 종류
건설안전기사에서 다루는 안전점검의 종류는 산업안전보건법령과 건설기술진흥법령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. 각 점검의 목적, 실시 시기, 주체가 다르므로 구분하여 암기해야 합니다.
1. 정기점검
- 정의: 일정한 기간(주기)마다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점검
- 목적: 설비, 기계, 시설물 등의 안전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이상 유무를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조치를 하기 위함
- 예시: 시설물의 안전등급이 A등급인 경우 반기에 1회 이상 정기점검 실시
- 적용: 기계설비, 시설물, 비계, 지보공 등
2. 수시점검
- 정의: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때마다 수시로 실시하는 점검
- 목적: 평상시와 다른 이상 징후가 있거나, 외부환경 변화 등으로 위험이 예상될 때 즉시 실시
- 예시: 비, 눈, 강풍 등 기상 변화 시 또는 작업 중 이상 발견 시
- 적용: 각종 설비, 가설물, 작업장 등
3. 임시점검
- 정의: 설비의 신설, 변경, 고장 수리 후 또는 특별한 사유 발생 시 실시하는 점검
- 목적: 설비의 상태가 평상시와 달라졌을 때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
- 예시: 기계, 기구, 설비의 신설, 변경, 고장 수리 시 임시점검
- 적용: 기계설비, 전기설비, 구조물 등
4. 특별점검
- 정의: 사고 발생, 중대 결함 발견, 자연재해(지진·홍수 등) 후 등 비상 상황에 실시하는 점검
- 목적: 긴급한 위험요소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조치하기 위함
- 예시: 사고 발생 후, 태풍·지진 등 자연재해 발생 후 실시
- 적용: 전 시설물, 구조물, 현장 전반
5. 긴급점검
- 정의: 시설물의 붕괴, 전도 등으로 인한 재난·재해 우려가 있을 때 신속하게 실시하는 점검
- 목적: 즉각적인 위험요소를 확인하고 조치하기 위함
- 예시: 정기점검 결과 결함 발견 시 긴급점검 시행
- 적용: 건설공사, 시설물 등
6. 정밀안전점검/정밀안전진단
- 정의: 구조적 안전성과 결함의 원인 등을 정밀하게 조사·측정·평가하는 점검
- 목적: 물리적·기능적 결함을 정확히 진단하고 보수·보강 방법을 제시
- 예시: 시설물의 정밀안전진단
- 적용: 주요 구조물, 대형 시설물 등
점검 종류 실시 시기/ 상황주요 목적/ 특징
정기점검 | 일정 주기(월/분기/반기/연 등) | 주기적 안전상태 확인, 예방조치 |
수시점검 | 필요 시, 이상 징후 발견 시 | 즉각적 위험요소 확인 |
임시점검 | 신설, 변경, 고장 수리 후 | 설비 변경 후 안전성 확인 |
특별점검 | 사고, 자연재해, 중대 결함 등 비상상황 | 비상상황에서 신속한 위험 파악 |
긴급점검 | 재난·재해 우려 시, 정기점검 후 결함 발견 | 즉각적 위험요소 확인, 조치 |
정밀안전점검 | 구조적 결함 의심 시, 주기적 실시 | 구조적 결함, 원인 정밀 진단 |
출제 포인트
- 각 점검의 정의, 목적, 실시 시기와 주체를 구분하여 암기
- "기계설비의 안전에 있어서 중요 부분의 피로, 마모, 손상, 부식 등에 대한 장치의 변화 유무 등을 일정 기간마다 점검하는 것은?" → 정기점검
- "기계, 기구, 설비의 신설, 변경, 고장 수리 시 실시하는 점검은?" → 임시점검
'공부합시다. > 건설안전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스템위험 분석기법 (건축안전기사) (0) | 2025.05.02 |
---|---|
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안전·보건표지 (20~22년 6회) (0) | 2025.04.26 |
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안전 보건표지의 종류별 색채기준 (0) | 2025.03.15 |